
주토피아 Zoo + Utopia
유토피아 (Utopia)의 사전적 의미는 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최선의 상태를 갖춘 안전한 사회를 말합니다. 유토피아라는 단어에 Zoo 주라는 동물원이 합해지면서 동물들이 사는 천국같은 곳이라는 느낌을 주는 도시이름입니다. 이렇게 누구나 살고 싶은 도시 1위인 주토피아를 배경으로 영화는 전개됩니다.
주토피아에는 총 12개의 구역으로 나뉘어있습니다. 열대우림구역, 툰드라 타운, 다운타운, 사하라 광장, 캐니언 밸리 등등 다양한 생태계가 최신 기기문명에 도움을 받아 기후조절이 가능합니다.주토피아는 교양있고 세련된 라이프 스타일을 주도하는 도시라 주인공 '주디'도 시골에서 주토피아로 올라와 첫 직장에 입사하게됩니다.
겉으로 볼때는 너무나 화려한 주토피아지만 주토피아의 어두운면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초식동물과 육식동물이 서로가 서로를 배척하고
차별합니다. 편견가득한 도시에서 평등한 세상을 꿈꾸는 사회초년생 '주디'가 편견에 맞써 주토피아 최초 토끼경찰이됩니다.
하지만 주디 또한 자기안에 편견이 있다는 것을 여우 닉을 통해 알게 됩니다.
오만과 편견
주인공 토끼 '주디'는 어린시절 정의감에 불타올라 불량 여우 기디온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친구들을 구해줍니다. 그 과정에서 상처가 나기도합니다. 어려서부터 정의로운 경찰을 꿈꾸었지만 주변 동물들로부터 '토끼는 경찰이 될수 없다'는 말을 들으며 세상의 편견에 맞서 어렵게 꿈을 키워가는 인물입니다.
주디가 주토피아로 떠날때 주디 부모님 홉스부부는 여우 퇴치용 기구를 선물을 합니다. 이를 통해 알수있듯 토끼에게 있어 여우는 맹수이고 언제든 공격을 당할수도 있기에 위험한 존재였습니다. 주디도 평등을 얘기했지만 마음속 깊은 곳에서는 맹수와 자신은 다르다는 생각을 했고, 기자회견때 전문가들이 동물들이 왜 야수로 변하게 되는지 질문을 했을때 DNA와 생물학적인 특성때문에 포식자로 변했다고 말합니다. 그 때문에 주토피아는 맹수와 맹수가 아닌 동물들이 급격하게 멀어지면서 서로가서로를 불신하고 미워하는 문화가 팽배해집니다.
주인공 또한 모두가 평등한 사회를 그토록 바랬지만 사실 마음 속 깊은 곳에서는 편견이 자리잡고 있었던 것입니다.
양 '벨웨더 부시장'은 작은 동물들끼리 뭉쳐야한다고 하면서 주디를 격려해줍니다. 경찰 서장에게 '주디'가 해고를 당할위기였을때
이미 토끼가 실종사건을 해결한다는 이례적인 사실을 시장에게 보고를 해 주디가 계속해서 경찰일을 할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그리고 CCTV를 열람할 수 있게 해주고 기자들의 질문 공세를 막아줍니다. 그리고 주디에게 초식동물의 대표로 주토피아 경찰의 얼굴이 되어달라고 부탁합니다.
하지만 토끼 '주디'는 이를 거절합니다. 처음에는 주인공을 돕는 착한 인물로 생각했던 양'벨웨더'의 반전이 영화 후반부에 나옵니다. 벨웨더는 육식동물에게 포악한 야수로 변하는 세럼을 만들어 그들을 격리하고 초식동물세계를 꿈꾸는 인물이었던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양 이미지가 온순하고 착하다고 알고 있기에 이러한 벨 웨더의 진실은 엄청난 반전과 충격을 주는 대목이었습니다. 양 벨웨더는 역차별을 떠올리게하는 인물로 초식동물들만을 위한 세계를 꿈꿉니다.
그래서 악의적으로 육식동물들을 야수로 변하게 만들었던 것입니다.
여우 닉에게도 세럼을 쏴서 닉이 주디를 공격하게 만듭니다. 이성을 잃고 야수처럼 주디를 공격하는 모습을 즐겁게 조롱하는 양 벨웨더는 양의 탈을 쓴듯한 이 영화의 빌런중의 빌런입니다.
여우 '닉'은 능글맞은 사기군 캐릭터입니다. 영화의 초반에서는 토끼'주디에게 토끼는 경찰이 될수 없다고 조롱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경찰서장 또한 토끼인 주디가 경찰이 되는게 못마땅해합니다. 그래서 다른 경찰들에게는 연쇄실종사건을 맡기지만 주디에게는 주차단속하는 소일거리만 지시합니다. 연쇄실종사건을 주디가 본의 아니게 맡게 되자 48시간이내에 해결하지 못하면 해고를 하겠다고도 말합니다.
육식동물들은 초식동물에게는 너는 이런걸 못할 거야라는 고정관념과 편견에 사로잡혀있었고, 초식동물들은 육식동물들이 언제든 야수로 변할수 있는 야만적이고 반사회적인 동물들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차별과 역차별 두가지 모습이 함께 나옵니다.
여우 '닉'이 아이스크림을 먹으려고 가게에 들어갔을때 , 초식동물이 운영하는 가게 사장이 육식동물들에겐 안판다고 하는 부분이 나오기도합니다.
이렇듯 서로가서로를 반목하는 주토피아에서 서로에대한 깊은 불신은 육식동물의 대표인 '닉'과 초식동물의 대표인 '주디'에게서
최고조로 일어나고 그들이 범죄수사를 밝히면서 갈등은 해소가 됩니다.
영화에서는 주토피아라는 가상의 동물세계에서 펼쳐지지만, 실제 우리사회의 차별과 역차별에대해 다시한번 더 생각하게 됬습니다.
어린이들이 보기에도 재미있는 영화지만 어른들이 보면 내가 가진 편견과 우리사회가 지닌 차별과 문제점에 대해 직시하게 되는 영화입니다.
주토피아에서는 반전의 캐릭터들이 많이 나옵니다. 첫번째로는 <대부>시리즈를 패러디하며 툰드라 지역 조직의 두목 미스터 빅의 정체가 밝혀지는데요 그는 다름아닌 아주 작은 땃쥐였습니다. 두번째로 고구마백개를 먹은듯 일처리가 매우 느려터진 나무늘보 플레시가 사실은 속도감을 즐기는 폭주족이었습니다. 세번째로 연쇄살인사건을 일으킨 최고의 악당은 극 초반에 주인공 토끼 '주디'를 도와줬던 가장 선해보이는 부시장 양 벨웨더였습니다.
인생도 마찬가지입니다. 가장 선해보이는 사람이 악한짓을 저지르기도하기에 겉으로 보이는 모습이 다가 아닙니다.
닉처럼 사기꾼처럼 뻔뻔해보이지만 그 어떤 경찰보다 사건의 진실을 잘 파헤치고 사회를 위해 공헌할 수 있습니다.
이 영화를 보면서 유쾌하게 많이 웃으면서 내 안에 있는 편견과 색안경들을 돌아볼수있어서 참 좋았습니다.